0 식품산업 분류 현실화 필요
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들

식품산업 분류 현실화 필요

식품 관련 통계 자료를 찾다보면, 항상 한계에 부딪히곤 한다.
 
개별 기업의 매출 자료를 모두 수집한다면 가장 정확한 시장 흐름을 파악할 수 있겠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며 공신력을 가지는 통계자료로 활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결국 정부에서 발표되는 통계 자료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데 이에 대해서는 누구나 비슷한 경험을 했으리라 짐작된다.
 
우선 표준산업분류 자체가 현실적이지 못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다.
현행 표준산업분류 상 식품산업은 대분류 「15 음·식료품 제조업」으로 분류되어 있다. 그리고 하위에는 다음과 같이 세분류 되어 있다.
 
151 고기, 과실, 채소 및 유지 가공업
152 낙농제품 및 아이스크림 제조업
153 곡물가공품, 전분 및 사료 제조업
154 기타 식품 제조업
155 음료 제조업
 
각 세분류 이하에 「1513 과실, 채소가공 및 저장처리업」등의 세세분류가 정해져 있지만 식품업체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식약청의 식품 품목 분류와 접목시키는데 가장 큰 어려움이 있다. 고도화되고 전문화된 현대의 식품산업에 대한 분류체계를 전혀 수용하지 못하고 있어 실질적인 통계 자료로써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더구나 식품제조업 외에 식품산업과 밀접하게 연관되는 1차 원료 생산은 농업, 외식산업은 서비스업으로 분류되어 있어 식품산업 전반에 대한 명확한 분류체제가 없는 실정이며 따라서 원료 수급이나 생산 계획에 대한 통계적 예측은 어려운 상황이다.
 
일전 식품산업 분류의 문제에 대해 관련 부처의 이의를 제기한 바 있다.
 
식품산업 생산 실적이 37조원에 이르고 외식산업까지 합하면 100조원을 넘어서는 산업 규모를 형성하고 있으며 고용창출 기여도 또한 가장 높은 산업임에도 산업분류가 타 산업에 비해 명확하지 못하고 그로 인해 산업 전망에 어려움이 있다는 지적을 했다.
 
하지만 「식품산업 쪽에서의 산업분류 조정에 대한 요청이 없었기 때문」이라는 허무한 답변 밖에 들을 수 없었다.
 
더구나 식품산업의 경우 보건복지부나 농림부에서 관할하고 있기 때문에 산업자원부에서 관여하기 어려운 상황이고 이로 인해 식약청에서 집계된 데이터들이 공유화되지 못하고 있다.
 
당연히 통계체제나 분류 또한 따로 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결국 식품산업관계자들의 연구와 노력이 있어야만 현행 표준산업 분류상의 식품산업이 제 지위를 찾을 수 있다는 결론이다.
 
식품산업의 확고한 지위를 학보하고 연계산업까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정확하고 공신력있는 통계자료를 생산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우리 식품산업종사자 스스로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며 분류의 불합리한 점에 대해 지속적으로 개선을 요청해야 할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