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한해의 시작, 정월세찬상
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들

한해의 시작, 정월세찬상

한해를 잘 마무리 하고 또다시 시작되는 일 년의 시작하는 달인 정월은 한해가 열리는 달이고 정월의 첫날인 설은 새로 시작하는 해에 대한 기대와 소망으로 시작되는 날이다.
 
설은 다른 말로 설은 원단(元旦), 세수(歲首), 연수(年首) 신일(愼日)이라고도 하는데, 설의 참 뜻은 확실하지 않으나 ‘삼가하다’ ‘설다’ ‘선다’ 등으로 해석한다.
 
이는 묵은해에서 분리되어 새해로 가는 과정으로 근신하여 경거망동을 삼간다는 뜻을 내재하고 있어, 새로운 한해동안 바른 정신과 몸가짐으로 악귀를 물리치고 복(福)이 오는 것을 기대하는 마음이 담겨져 있다고 할 수 있다.
 
민족의 대명절인 설날, 각 가정에서는 아침 일찍 조상에게 차례(茶禮)를 올리는 차례상과 세배 손님 대접을 위해 여러 가지 음식을 준비하는데, 이들 음식을 통틀어 세찬(歲饌)이라 한다. 세찬을 준비하고 차례를 지내고, 세배 손님을 맞이하는 일 등으로 새해 첫날은 집집마다 무척 분주하다. 
 
 
설날 준비하는 다양한 세찬 음식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떡국이다.
 
조선 순조 때 홍석모가 지은 풍속서 <동국세시기>에 “찐 멥쌀가루를 안반 위에 놓고 떡메로 쳐서 길게 만든 떡을 백병(白餠·흰떡)이라 하였고, 이를 엽전같이 썰어 장국에 넣고 쇠고기나 꿩고기를 곁들여 끓이면 떡국이라 했다.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세찬(歲饌)에는 제사나 손님 대접에 쓰는 없어서는 안 될 음식이다.”라고 표현한 것처럼 떡국은 임금에서부터 서민들까지 모두 먹어왔던 음식이었음을 알 수 있다.
 
옛날의 떡국은 요즈음에 끓여 먹는 떡국과는 쌀의 종류, 떡 써는 모양, 육수 내는 법이 달랐는데 떡국용 떡의 재료로서 멥쌀과 찹쌀을 사용하여, 멥쌀과 찹쌀의 비율을 4:1의 비율로 섞어 가래떡을 만들어 매끈거리는 것을 더해주고 또 먹었을 때 약간 찰지게 했다. 또 국물도 사골이나 양지머리가 아닌 닭, 꿩고기, 쇠고기로 육수를 우려내 사용했다. 가래떡 썬 모양도 요즘과 같이 어슷하지 않고 수저로 뜨기 편하도록 동전처럼 동글게 썰었다.
 
세찬상에 올린 떡국을 언제부터 먹었는지 흰떡의 역사를 문헌적으로 확인하기는 어려우나 벼농사를 짓고 시루와 돌확을 사용했던 때가 기원전 4~5세기경으로 밝혀져 있으므로 이때부터 흰떡이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설날에 떡국을 먹는 것은 한 살을 더 먹는다는 상징이기도 하다. 그래서 사람들은 나이를 물을 때 ‘몇 살이냐’라고 묻기 전에 ‘떡국을 몇 그릇 먹었느냐’라고 묻기도 한다. 시루에 찐 떡을 길게 늘여 뽑는데 이는 “재산이 쭉쭉 늘어나라”는 축복의 의미를 담고 있고, 가래떡을 둥글게 써는 이유는 둥근 모양이 마치 옛날 화폐인 엽전의 모양과 같아서 새해에 재화가 풍족하기를 바라는 소망이 담겨 있다.
 
 
세찬상은 떡국을 비롯하여 만둣국, 각색전, 빈대떡, 편육, 족편 누름적, 떡찜, 떡볶이, 육회, 잡채, 전복초, 절편, 약식, 다식, 정과, 강정, 숙실과, 수정과, 식혜, 동치미, 장김치 등이 올라간다.
 
<한국음식대관>에 보면 궁중의 설날모습에 대해 설명했는데, ‘새해 초하루에는 사대부가 부인들과 아이들이 궁에 넘쳤는데, 문무백관의 가솔들이 임금에게 새해 문안인사를 여쭙기 위해 궁으로 들어왔기 때문이며, 왕과 왕비는 아침에 정월 차례를 지낸 뒤 인사를 받느라 종일 서있다시피 했다’는 글을 통해 차례를 지낸 후 궁을 찾은 손님들과 같이 새해절식(節食)을 나누어 먹었음을 알 수가 있다.
 
이때 떡국 대신 궁중에서는 둥근 것을 반만 접어서 주름을 내지 않고 반달모양으로 빚어 병시(餠匙)’라 부르는 만둣국을 기본으로 한 상차림이었다는 기록도 있으며 이밖에도 여러 가지 음식을 준비해 놓아 세배 오는 손님에게 손쉽게 접대를 할 수 있었다 한다.
 
 
정성들여 준비한 세찬상은 조상께 먼저 올리기에 갖은 떡과 미리 만들어 놓은 조과류로 산자, 엿강정, 엿, 밤초 대추초, 다식, 평소에는 잘 해먹을 수 없는 각색 전유어, 누름적, 갈비찜, 산적 등 조상께 올릴 음식은 정성스럽게 고여 담고 준비한 조과, 과일, 흰 떡국을 가지고 차례를 지내고, 웃어른께 순서로 세배를 드리고 덕담을 듣는다. 그중 정월에 즐겨 먹던 음식에 전복초나 족편은 재료도 귀했지만 만들기도 어려워 당시에 궁중이나 상류층이 아니면 맛을 보기가 힘든 요리들이었으며, 요즘에도 흔히 만들어 먹을 수 없는 귀한 음식이다.
 
만드는 방법을 살펴보면 전복초는 전복을 통째로 장물에 조려 쇠고기와 함께 먹는 음식으로 소금과 찬물에 헹군 전복을 흠집없이 떼어 내 주름 잡듯 칼집을 넣는다. 얇게 저며 두들긴 쇠고기와 함께 양지육수에 꿀과 간장 등으로 맛을 낸 장물로 졸여 살짝 조려 준 후, 은행과 잣가루를 살짝 얹어 먹으면 쫄깃하면서도 부드럽게 씹히는 맛이 좋다.
 
또한 당시 민가에서도 즐겨 먹었다는 족편은 만들기가 어려워 쉽게 접하기 힘들지만 “쇠족에 든 단백질인 콜라겐 때문에 묵처럼 먹을 수 있는 음식”이다.
 
족편은 단백질과 지방이 많은 보양음식으로 노인이나 아이에게도 안성맞춤이며, 겨울철 밖에서 살짝 얼렸다가 먹으면 아작아작 씹히는 맛이 훌륭한 음식이다. 족편 만드는 방법을 보면 깨끗이 씻은 쇠족을 물에 담가 피를 뺀 다음 뼈의 골수가 다 녹아 구멍이 뚫릴 때까지 고아 통후추 생강 마늘을 넣어 누린내를 없애고 뼈를 추려 내 버린 뒤 따로 삶은 사태를 함께 넣어 걸쭉하게 끊인다. 약간 식혔다가 석이버섯 달걀지단을 얹어 굳힌 후 썰어 그릇에 담으면 된다.
 
이처럼 영양소가 골고루 함유된 좋은 음식을 기대와 소망으로 시작되는 정월세찬상에 올리는 이유는 우리 민족에게 ‘나눔의 정’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다가오는 2008년에는 주변을 둘러보고 이웃과  따뜻한 정을 나눠 보시길 권해본다.
 


(윤숙자 소장님)
반응형

'유용한 정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죽  (0) 2008.12.26
궁중김치  (0) 2008.12.26
협심증, 심근경색의 식이요법  (0) 2008.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