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방법' 태그의 글 목록 (3 Page)
본문 바로가기

방법

(21)
전통의 맛 "떡" 전통의 맛 "떡" 떡은 전 세계적으로도 유례를 찾기 어려운 독특한 음식으로 보통 멥쌀이나 찹쌀 또는 잡곡 등을 물에 불려 찌거나 삶거나 지져서 익힌 음식이다. 떡의 어원은 옛말의 동사 ‘찌다’가 명사가 되어 ‘찌기 → 떼기 → 떠기 → 떡’으로 변화된 것으로, 본디는 ‘찐 것’이란 뜻이다. 우리 민족이 농경을 시작하여 처음에 죽을 끓이고, 그 다음단계에서 시루에 쪄서 익힌 곡물을 만들던 시대부터 떡이 유래되었다고 추정된다. 1~2세기경 김해·웅천 등에서 시루가 출토되고 고구려의 안악 3호 고분벽화에는 시루에 무엇인가 찌고 있는 모습이 있다. 에는 신라 유리왕 원년에 왕자인 유리(儒理)와 탈해(脫解)의 왕위계승과 관련된 기록이 있는데, ‘탈해가 유리에게 왕위는 용렬한 사람이 감당할 바 못되며, 듣건데 성스..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죽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죽 『임원경제십육지(林園十六志)』에『粥記(죽기)』를 인용하여 "매일 아침에 일어나서 죽 한 사발을 먹으면 배가 비어 있고 위가 허한데 곡기가 일어나서 보의 효과가 사소(些少)한 것이 아니다. 또 매우 부드럽고 매끄러워서 위장에 좋다"고 쓰여 있다. 불교에서도 역시 죽반(粥飯)이라 하여 아침에는 죽, 낮에는 밥을 먹는 것이 오랜 관습으로 되어 있어 오랫동안 아침 대용식으로 죽을 먹어왔음을 알 수 있다. 죽은 곡식에 물을 많이 붓고 오래 쑤어서 곡식의 알이 연하게 퍼지고 녹말이 충분히 호화되어 소화되기 쉬운 상태로 무르게 익은 유동 음식의 총칭이다. 우리 선인들의 고운 심성이 반영된 음식인 죽은 재료에 따라 크게 흰죽, 두태죽, 장국죽, 어패류죽, 비단죽 등으로 나누며, 농경 문화권인 우..
궁중김치 궁중김치 일본의 한 여행 전문가가 쓴 책을 우연히 읽었더니 각 나라의 공항에 도착하면 그 나라의 독특한 향을 느낄수 있다면서 한국의 대표적인 향은 김치의 자극적인 냄새인 "발효향"을 느낄수 있다고 한 말이 기억이 난다. 최근 김치가 사스(SARS,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에 이어 조류독감의 예방에 효과가 있다하여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는 김치를 우리 조상들은 과연 언제부터 먹었을까? 우리의 전통음식은 ‘약식동원(藥食同源)’ 또는 ‘식즉약(食卽藥)’이라 하여 ‘음식이 곧 약이 된다’는 개념을 가지고 있다. 무병장수나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음식을 잘 먹는 것이 한 가지 방법이고 그런 가운데 질병을 미리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
하체비만에 대해 최근 모 의료기관에서 20~30대 여성 2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전체의 90.3% 에 해당하는 1,806명이 부분비만 때문에 고민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부분비만 중 가장 고민하는 신체부위는 엉덩이와 허벅지가 (649명/32.5%)으로 가장 많았고, 배와 허리(503명/25.2%), 종아리(273명/13.7%), 볼살과 이중턱(212명/10.6%), 팔뚝(169명/8.5%)이 뒤를 이었다. 이처럼 부분비만 중에서는 특히 상체에 비해서 엉덩이와 허벅지. 종아리 등 하체 부위의 비만도가 심한 하체비만 때문에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다. 하체비만의 원인은 첫째가 혈액순환장애로 생기는데 하체부위는 심장에서 멀고 중력의 영향으로 상체보다 상대적으로 혈액순환이 힘든 부위이다. 혈액 내에서 지방..
소아비만의 한방적치료 비만이란 지방조직의 비정상적인 증가로 체내 지방조직이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를 말한다. 소아비만은 보통 유아기에서 사춘기까지의 비만을 말하며 성인비만과 달리 주로 지방 세포의 수가 증가하거나 크기가 커져 피하층이나 각종 체내 조직에 과도한 양의 체지방이 축적되고 여러 가지 대사질환을 동반하게 되는 질환이다. 소아의 경우 표준 체중표에 의한 계산법으로 20%이상 초과하였을 때 비만이라고 한다. 소아비만은 앞서 지적한 대로 지방세포의 크기만 커지는 성인비만과 달리 지방세포의 수가 증가하는데 성장속도가 빨라 세포수가 급격히 늘어나는 데다 일단 생긴 지방세포는 살이 빠져도 줄어들지 않아 성인이 된 후에도 다시 살 찔 가능성이 매우 높다. 최근 경제성장으로 생활 환경이 편리해지고 운동량이 부족하여 열량 소비가 감소..